토지를 개발하거나 건축하려면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의 차이를 명확히 알아야 합니다.
각 지역의 정의, 종류, 규제, 개발 가능성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1. 도시지역이란?
도시지역은 도시 기능을 유보하거나 개발·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역으로
주로 주거, 상업, 공업, 녹지 기능이 조화를 이루도록 계획된 구역입니다.
✅ 국토계획법에 따라 도시계획구역 안에 포함된 지역
도시지역의 4대 유형
유형설명
주거지역 | 단독주택, 아파트 등 거주 중심 |
상업지역 | 상가, 오피스, 유통시설 등 |
공업지역 | 공장, 물류창고 등 산업시설 |
녹지지역 | 공원, 완충녹지 등 환경보전 목적 |
2. 비도시지역이란?
비도시지역은 도시지역 외의 모든 지역으로,
주로 농업·임업·자연보호·개발관리 용도로 구분됩니다.
✅ 도시계획구역 외 또는 구역 내 비도시로 지정된 곳
비도시지역의 3대 유형
유형설명
관리지역 | 개발 가능성이 있는 중간 성격의 지역 |
농림지역 | 농지, 임야 등 보전이 우선 |
자연환경보전지역 | 개발 제한이 가장 강한 보호지역 |
3. 도시지역 vs 비도시지역 차이점 비교
구분도시지역비도시지역
위치 | 도시계획구역 내 | 도시계획구역 외 또는 지정 외 |
용도 목적 | 주거, 상업, 공업 중심 | 농업, 임업, 환경보전 중심 |
개발 가능성 | 상대적으로 높음 | 상대적으로 낮음 |
건축 규제 | 용도지역 내에서 비교적 자유 | 개별법 및 전용 허가 필요 |
예시 | 아파트, 상가 밀집 지역 | 농지, 임야, 시골 마을 등 |
✅ 도시지역은 **기반시설(도로, 상하수도 등)**이 이미 구축된 경우가 많고,
✅ 비도시지역은 기반시설 미비 및 환경·농지 관련 규제가 많습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Q&A)
Q1. 도시지역이면 무조건 개발 가능한가요?
A. 아닙니다.
도시지역이라도 **용도지역(예: 녹지지역)**에 따라 건축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반드시 용도지역, 지구, 구역까지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Q2. 비도시지역도 집을 지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다만 농지 전용 허가, 산지 전용 허가, 기반시설 조건 등을
충족해야 하며, 건축 절차가 더 까다롭고 기간도 더 깁니다.
Q3. 투자용 토지는 도시지역이 더 좋은가요?
A. 일반적으로 도시지역이 수익형 개발(상가, 주택 등)에 유리합니다.
다만, 계획관리지역처럼 비도시지역이라도 향후 개발 가능성이 높은 지역도 있습니다.
→ 용도지역 + 인프라 + 입지 조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5. 핵심 요약표
항목도시지역비도시지역
법적 구분 | 도시계획구역 내 | 도시계획구역 외 |
주요 용도 | 주거, 상업, 공업, 녹지 | 농업, 임업, 환경보전 |
개발 가능성 | 높음 | 낮음 (허가 필요) |
규제 수준 | 상대적으로 자유 | 상대적으로 엄격 |
건축 가능성 | 용도지역 따라 다름 | 농지·임야 등 개별 허가 필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