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이드카 발동! 사이드카란 무엇인가요? 주식시장 안전장치 총정리

by jay-style 2025. 11. 6.

사이드카란?

**사이드카(Sidecar)**는 선물 시장의 급격한 가격 변동이 현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프로그램 매매를 중단하는 주식 시장의 안전장치입니다.

원래 ‘사이드카’는 오토바이에 달린 보조 좌석을 뜻하지만, 금융 시장에서는 주가 급변 시 시장을 보호하기 위한 제동 장치를 의미합니다.


사이드카는 언제, 왜 발동되나요?

사이드카는 선물 시장의 급등락으로 인해 현물 시장의 변동성이 과도하게 커질 때 투자자 보호를 위해 발동됩니다.
이는 프로그램 매매가 시장을 더 크게 흔드는 것을 방지하려는 목적입니다.


사이드카 발동 조건 (2025년 기준)

구분조건발동 내용
매도 사이드카 코스피200 선물이 전일 대비 5% 이상 하락 프로그램 매도 일시 중단
매수 사이드카 코스피200 선물이 전일 대비 5% 이상 상승 프로그램 매수 일시 중단
공통 조건 가격 변동이 1분간 지속될 경우 5분간 프로그램 매매 효력 정지
발동 횟수 제한 하루에 1회만 발동 가능 추가 발동은 불가

✅ 코스닥 시장도 동일한 기준으로 사이드카 제도가 적용됩니다.


사이드카 발동 시 시장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1. 급변하는 시장에 일시적 브레이크 제공

→ 매수/매도 프로그램이 5분간 중단되면서 시장 과열을 진정시키는 효과

2. 투자자 심리에 영향

→ 사이드카가 발동되면 ‘시장이 위험하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져 매도세가 더 커질 수도 있음

3. 유동성 및 거래량 감소

→ 단기적으로 시장 참여 위축 가능성 존재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차이점은?

구분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대상 프로그램 매매 전체 주식 거래
발동 기준 선물지수 ±5% 변동 (1분 지속) 종합지수 8% 하락 (1분 지속)
정지 시간 5분 20분 이상
일일 발동 횟수 1회 최대 3회
목적 프로그램 매매 과열 진정 시장 전체 패닉 방지

📌 서킷브레이커는 사이드카보다 훨씬 강력한 시장 정지 수단입니다.


실제 사례로 보는 사이드카 발동

  • 2020년 3월 13일
    →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코스피200 선물지수가 급락하면서 사이드카 매도 발동
    → 프로그램 매도 중지 → 5분 후 재개 → 서킷브레이커까지 발동되는 이례적인 상황 발생
  • 2022년 6월 13일
    → 미국 증시 급락 여파로 코스닥 선물 -6% 하락 → 사이드카 발동

사이드카 발동 시 개인 투자자가 유의할 점

✔ 1. 감정적 매매 자제

사이드카는 시장 급변의 신호이기도 하므로 무리한 추격 매수나 공포 매도는 지양해야 합니다.

✔ 2. 시장 안정화 여부 관찰

사이드카 발동 이후 지수의 흐름이 진정되는지를 확인한 뒤 거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3. 분할 매매 전략 활용

시장 불확실성이 높을 땐 전량 매수·매도보다 분할 매매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사이드카는 하루에 몇 번까지 발동되나요?

사이드카는 하루 1회만 발동 가능합니다. 한 번 발동되면 그날은 추가 발동이 없습니다.

Q2. 사이드카는 왜 매수일 때도 발동되나요?

시장 급등 시에도 과도한 매수세로 인해 시장 왜곡이나 거품 발생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매수 사이드카도 존재합니다.

Q3.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가 동시에 발동될 수 있나요?

예, 가능은 합니다. 사이드카 발동 후 시장이 더 급락하면 서킷브레이커까지 발동될 수 있습니다. 2020년 코로나 급락장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Q4. 사이드카는 개인투자자와 관련이 있나요?

직접적인 매매 제한은 없지만, 프로그램 매매 중단으로 시장 유동성에 영향이 생기기 때문에 체결 속도나 가격에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