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1억 원이라고 하면 사회에서 흔히 말하는 ‘고소득자’ 기준에 들어가는 숫자입니다.
하지만 연봉이 높다고 해서 전부 내 통장에 들어오는 건 아니죠.
건강보험, 국민연금, 소득세, 지방세 등 각종 공제 항목을 제외하고 나면 실제로 손에 쥘 수 있는 금액은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연봉 1억 원을 기준으로 할 때 실수령액은 얼마인지,
또 어떤 항목에서 얼마만큼 공제가 되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전제 조건
- 2025년 기준 세법 적용
- 비과세 수당 없음
- 4대 보험 정상 납부
- 미혼, 부양가족 없음 기준 (1인 기준)
- 월 급여 지급 (성과급, 상여 없음)
📌 연봉 1억 기준 세금 및 공제 항목
항목월 평균 공제액 (원)연간 공제액 (원)
국민연금 | 497,000 | 5,964,000 |
건강보험 | 369,000 | 4,428,000 |
장기요양보험료 | 47,000 | 564,000 |
고용보험 | 80,000 | 960,000 |
소득세 (근로소득세) | 370,000 | 4,440,000 |
지방소득세 | 37,000 | 444,000 |
총 공제액 | 1,400,000 | 16,800,000 |
※ 금액은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연봉 1억 → 실수령액 계산
- 연봉 총액: 100,000,000원
- 총 공제액: 약 16,800,000원
- 연 실수령액: 약 83,200,000원
- 월 실수령액: 약 6,930,000원
📌 참고: 소득세는 이렇게 계산돼요
소득세는 누진세 구조이기 때문에 소득이 높을수록 세율도 점점 올라갑니다.
연봉 1억의 경우 과세표준 약 6,000만 원대에 해당하는 15%~24% 구간에 걸쳐 있으며, 여기에 지방세(소득세의 10%)가 추가로 붙습니다.
✋ 이런 점도 알아두세요
- 부양가족이 있다면 공제액이 줄어들어 실수령액이 조금 늘어날 수 있습니다.
- 성과급, 상여금, 비과세 식대/교통비 등이 포함될 경우 실수령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프리랜서나 사업자의 경우 4대 보험 대신 건강보험 지역가입 및 기타 비용이 다르게 산정됩니다.
✅ 요약 정리
구분금액 (원)
연봉 | 100,000,000 |
연간 공제 | 16,800,000 |
연간 실수령 | 83,200,000 |
월 실수령 | 약 6,930,00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