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이란 무엇인가요?
**혈압(Blood Pressure)**은 심장이 혈액을 몸 전체로 내보낼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을 말합니다.
혈압은 **수축기 혈압(최고혈압)**과 **이완기 혈압(최저혈압)**으로 나뉘며,
보통 다음과 같이 표기됩니다:
120/80 mmHg → 수축기 120, 이완기 80
정상혈압 범위 (대한고혈압학회 기준, 2025년)
분류수축기 혈압 (mmHg)이완기 혈압 (mmHg)
| 정상혈압 | 120 미만 | 80 미만 |
| 고혈압 전단계 | 120~139 | 80~89 |
| 고혈압 1기 | 140~159 | 90~99 |
| 고혈압 2기 | 160 이상 | 100 이상 |
| 저혈압 기준 | 90 이하 | 60 이하 |
✅ 정상혈압은 120/80 mmHg 미만이며, 그 이상이면 고혈압 전단계 또는 고혈압으로 분류됩니다.
고혈압과 저혈압의 위험성
고혈압 (Hypertension)
- 심장병, 뇌졸중, 신장질환의 주요 원인
- 대부분 **증상이 없어 ‘침묵의 살인자’**로 불림
- 지속되면 혈관이 손상되어 합병증 발생
저혈압 (Hypotension)
- 어지럼증, 피로, 시야흐림, 심한 경우 실신 가능
- 특히 노인층이나 만성질환자에게 위험
혈압 자가 측정 시 주의사항
- 앉은 자세에서 5분 이상 안정 후 측정
- 커프(측정기 밴드)는 심장 높이에 위치
- 측정 30분 전에는 카페인, 흡연, 운동 피하기
- 아침, 저녁 하루 2회 꾸준히 기록하는 것이 좋음
- 양팔 혈압 차이가 클 경우, 높은 쪽 기준으로 판단
혈압 관리를 위한 생활습관
습관설명
| 저염식 | 하루 소금 섭취 5g 이하 권장 |
| 운동 | 유산소 운동 주 3~5회, 30분 이상 |
| 체중 조절 | BMI 23 이하 유지 |
| 금연/절주 | 니코틴과 알코올은 혈압 상승 요인 |
| 스트레스 관리 | 명상, 요가, 심호흡 등 도움 |
| 정기 검진 | 1년에 1~2회 혈압 체크 필수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정상혈압인데도 어지럽거나 두통이 있어요. 왜 그럴까요?
👉 혈압은 정상이더라도 급격한 혈압 변화, 빈혈, 탈수 등의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은 병원에서 필요합니다.
Q2. 나이가 들면 혈압 기준도 바뀌나요?
👉 고령일수록 혈압이 자연스럽게 높아질 수 있지만,
기준은 동일하게 적용되며 관리가 더 중요해집니다.
Q3. 혈압이 130/85인데 고혈압인가요?
👉 해당 수치는 고혈압 전단계에 해당하며,
생활습관 개선을 시작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Q4. 혈압약은 언제부터 복용해야 하나요?
👉 보통 140/90 이상이 지속될 경우 복용을 고려하며,
의사 진단과 24시간 혈압 모니터링 등을 통해 결정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