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종합소득세 미신고 시 과태료 얼마나 나올까?

by jay-style 2025. 10. 13.

종합소득세 신고를 놓치셨나요?
이 글에서는 종합소득세 미신고 시 발생하는 과태료, 무신고 가산세, 납부 지연 가산세, 신고 구제 방법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1. 종합소득세 미신고란?

종합소득세는 매년 5월 1일~31일 사이에
프리랜서, 사업자, 임대소득자 등이 자기 소득을 신고하고 세금을 납부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미신고의 대표 사례

  • 신고 기간을 깜빡함
  • 소득 누락 후 일부만 신고
  • 처음 신고 대상인 줄 몰랐던 경우
  • 홈택스 전송 오류 등 시스템 착오

2. 미신고 시 부과되는 불이익

구분설명
무신고 가산세 세금의 최대 20%
납부 지연 가산세 연 9.125% (1일당 0.025%)
과태료/범칙금 허위·탈루 신고 시 형사처벌 가능성 있음
기타 불이익 체납 등록 → 세무조사 대상 확대

3. 무신고 가산세 계산 방식

구분세율적용 대상
일반 무신고 산출세액의 20% 정당한 사유 없이 미신고
부정행위(고의 누락) 산출세액의 40% 허위 장부 등
조세범칙조사로 확인 시 최대 60% 이상 + 벌금 또는 징역 중대 탈루

예시: 납부할 세금이 1,000만 원인데 신고를 안 했다면
가산세만 200만 원 발생


4. 납부 지연 가산세

신고는 했지만 세금 납부를 지연한 경우,
다음과 같은 이자 성격의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 1일당 0.025% × 미납세액 × 경과일수
  • 연간 환산 시 약 9.125% 수준

예시: 1,000만 원 납부 지연 시
→ 100일 경과 = 약 25만 원 가산세 발생


5. 신고 기한 놓쳤을 때 대처 방법

방법내용
기한 후 신고 6월 이후라도 가능한 빨리 자진 신고
경정청구 금액 과다 신고 시 정정 요청 가능
자진 납부 시 감면 조기 신고/납부 시 가산세 일부 감면 가능
납부 유예 신청 사정이 있을 경우 분납 또는 유예 가능 (세무서 문의)

6. 자주 묻는 질문 (Q&A)

Q1. 신고를 완전히 안 하면 무조건 과태료 나오나요?
A. 네. 무신고 가산세는 자동 부과되며,
세금 탈루로 판단될 경우 세무조사 또는 형사처벌 가능성도 있습니다.

Q2. 작년에 소득이 거의 없었는데, 그래도 신고해야 하나요?
A. 사업소득, 프리랜서 소득이 있다면 0원이라도 신고는 해야 합니다.
→ 미신고 시 추징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Q3. 이미 신고 기간이 지났는데 지금이라도 신고하면 가산세 안 붙나요?
A. 무신고 가산세는 붙지만, 자진 신고 시 감경 가능합니다.
→ 빠르게 홈택스 또는 세무사를 통해 신고 진행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7. 종합소득세 미신고 시 과태료 요약표

항목내용
무신고 가산세 산출세액의 20% (부정행위는 40%)
납부 지연 가산세 1일 0.025% (연 9.125%)
자진 신고 감면 일부 가산세 감경 가능
조치 방법 기한 후 신고, 납부 유예 신청 가능
체납 후 불이익 압류, 세무조사, 신용등급 하락 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