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월세 지원금 신청 방법|2025년 최신 조건 및 절차 총정리

by jay-style 2025. 10. 25.

정부가 청년에게 월 최대 20만 원씩 월세를 지원합니다.
2025년 청년월세 지원금 제도의 신청 자격, 소득 기준,
온라인 신청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1. 청년월세 지원금이란?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정부가 월세 일부를 보조해주는 제도입니다.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시행되며, 최대 12개월 간 월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 지원금은 현금이 아닌 현물성 지원(월세 일부 보전)
✅ 집주인에게 바로 지급되지 않고, 청년 본인 계좌로 월별 입금


2. 지원 대상 및 조건 (2025년 기준)

✅ 나이 요건

  • 신청일 기준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청년

✅ 거주 요건

  •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 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 거주자
  • 본인 명의 임대차 계약서 보유 + 전입신고 필수

✅ 소득 요건

  • 청년 본인 소득: 중위소득 60% 이하
  • 원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예시 (2025년 1인 가구 기준)

  • 청년 본인 월소득 약 123만 원 이하
  • 원가구 소득은 부모 포함 월 약 208만 원 이하

3. 신청 방법 및 절차

📌 신청 사이트

  •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신청 절차

단계내용
복지로 회원가입 및 로그인
'청년월세 지원' 검색 후 신청서 작성
임대차계약서, 소득확인서류 등 업로드
심사 및 결과 통보 (2~4주 소요)
매월 말일, 청년 본인 계좌로 월세 지원금 입금

4. 제출 서류

  • 임대차 계약서 사본
  • 주민등록등본 (전입신고 포함)
  • 소득 증빙서류 (근로소득 원천징수, 건강보험 납부확인 등)
  •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 정확한 서류 제출이 지연되면 지원금 지급이 지연되거나 탈락될 수 있음


5. 유의사항

항목주의 내용
거짓/누락 시 지원금 환수 + 향후 지원 불가
중복 지원 동일 목적의 타 주거지원제도와 중복 불가
신청 기간 각 지자체마다 상이 (공고문 확인 필수)
지원 기간 최대 12개월 / 중도 취업·전출 시 조정

6. 자주 묻는 질문 (Q&A)

Q1. 부모님과 같이 살고 있어도 신청 가능한가요?

불가능합니다.
단독세대주이거나 1인 가구 기준의 임대차 계약자여야 합니다.


Q2. 자취방 보증금이 6천만 원인데 신청할 수 있나요?

→ 안 됩니다.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주택만 가능하며,
초과 시 자동 탈락 처리됩니다.


Q3. 취업 중인 청년도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다만, 월소득이 중위소득 60%를 초과하면 대상 제외입니다.


Q4. 한 번만 신청하면 되나요?

예. 1회 신청으로 최대 12개월 자동 지급됩니다.
다만, 중간에 조건 변경(전출, 소득 증가 등)이 생기면
지자체에 즉시 신고해야 합니다.


7. 요약 정리표

항목내용
제도명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지원 대상 만 19~34세, 월세 거주 청년
지원 금액 월 최대 20만 원 × 12개월
보증금/월세 조건 5천만 원 이하 / 60만 원 이하
소득 기준 본인 중위소득 60% 이하
신청 방법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방문
지급 방식 본인 계좌로 매월 입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