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주택 청약 시 예치금 얼마 있어야 할까?
청약통장 예치금 기준을 지역별·전용면적별로 한눈에 볼 수 있는 표로 정리했습니다.
1. 청약통장 예치금이란?
민영주택 청약 시 필요한 최소 예치 금액을 말합니다.
예치금은 청약 신청일 기준으로 통장에 들어 있어야 하며,
전용면적과 거주 지역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 국민주택 청약은 납입 횟수 기준
✅ 민영주택 청약은 예치금액 기준
2. 청약통장 예치금 기준표 (2025년 기준)
전용면적서울·부산기타 광역시기타 시·군
85㎡ 이하 | 300만 원 | 250만 원 | 200만 원 |
102㎡ 이하 | 600만 원 | 400만 원 | 300만 원 |
135㎡ 이하 | 1,000만 원 | 700만 원 | 400만 원 |
모든 면적 | 1,500만 원 | 1,000만 원 | 500만 원 |
📌 서울, 부산은 예치금 기준이 가장 높음
📌 청약 신청일 기준으로 예치되어 있어야 유효
3. 예치금 기준 적용 방법
- 청약 신청 시 희망 면적을 기준으로 예치금이 충족되어야 함
- 지역은 해당 주택이 위치한 시·도 기준
- 예치금은 자동으로 인출되지 않음 → 신청자가 별도로 관리 필요
예시)
서울에 84㎡ 아파트 청약 시 → 예치금 300만 원 이상 필요
대구에 101㎡ 아파트 청약 시 → 예치금 400만 원 필요
4. 예치금 관련 주의사항
항목내용
예치금 충족일 | 청약 접수일 전일까지 입금 완료 |
통장 종류 | 주택청약종합저축, 청약예금만 해당 |
증액 방법 | 은행 창구 또는 앱에서 자유롭게 가능 |
예치금 증액 후 청약 가능 시점 | 즉시 적용 가능 |
청약부금, 청약저축은? | 예치금 기준 대신 납입 횟수 기준 사용 |
5. 자주 묻는 질문 (Q&A)
Q1. 주택청약종합저축도 예치금 기준이 적용되나요?
A. 네. 민영주택 청약 시에는 예치금 기준 적용됩니다.
→ 국민주택 신청 시에는 납입 횟수 기준
Q2. 예치금이 부족하면 청약 불가인가요?
A. 예, 청약 신청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예치금이 부족할 경우 신청이 반려되며, 접수 자체가 되지 않음
Q3. 청약 통장에 자동으로 돈이 쌓이면 되는 건가요?
A. 자동이체로 적립된 금액은 예치금으로 인정됩니다.
단, 청약 신청 시점까지 기준 금액이 채워져 있어야 함
Q4. 예치금은 청약 후 자동 인출되나요?
A. 아니요. 예치금은 단순한 ‘잔고 기준’이며, 청약 접수와 별도입니다.
청약 당첨 시 분양계약금과는 별도로 납부하게 됩니다.
6. 청약 예치금 요약 정리
조건기준
대상 통장 | 주택청약종합저축, 청약예금 |
기준 시점 | 청약 신청일 전일까지 |
적용 대상 | 민영주택 청약 |
면적 기준 | 신청 전용면적 기준 |
지역 구분 | 서울·부산 / 광역시 / 기타 |
최대 예치금 | 1,500만 원 (서울 135㎡ 초과 기준) |
증액 방법 | 은행, 모바일 앱 등 수시 가능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