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청약 가점이 몇 점인지 아시나요?
청약 당첨 가능성을 높이려면 가점 항목별 계산 기준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국토부·LH 공식 청약 가점 계산기 사용법과 주의사항까지 정리했습니다.
1. 청약 가점제란?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수, 청약통장 가입 기간 등
실제 주거 수요를 반영한 항목을 점수화해
고득점자에게 아파트 청약 기회를 우선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 청약 가점제는 전용 85㎡ 초과 or 공공분양 아닌 민영주택 청약 시 필수
✅ 총점 84점 만점, 60점 이상부터 당첨 가능성↑
2. 청약 가점 항목 및 배점표
항목배점기준
| 무주택 기간 | 32점 | 최대 15년 이상 (1년당 2점) |
| 부양가족 수 | 35점 | 본인 제외 6명 이상 시 최대 |
| 청약통장 가입 기간 | 17점 | 15년 이상 (1년당 1점, 1점부터 시작) |
3. 청약 가점 계산기 사용법 (국토부/LH 공식)
✅ STEP 1: 접속 경로
- 국토교통부 청약홈 사이트
→ https://www.applyhome.co.kr - 또는 LH 청약센터, 민간 포털도 가능
✅ STEP 2: ‘가점 계산기’ 메뉴 클릭
- 메인 화면에서 [자가진단] → [청약 가점 계산기] 진입
- 또는 '청약 자격 확인'에서 함께 진입 가능
✅ STEP 3: 항목 입력
입력 항목입력 예시
| 무주택 기간 | 최초 주택 처분일 기준 계산 |
| 부양가족 수 | 배우자, 자녀, 부모 등 주민등록등본상 같이 거주 중인 가족 |
| 청약통장 가입일 | 실제 가입일 기준 자동 계산됨 |
✅ 모든 항목 입력 시 자동으로 총점 계산됨
✅ 각 항목 옆에 “계산 기준 보기” 링크 클릭하면 상세 안내 확인 가능
4. 예시: 실제 점수 계산
예)
- 무주택 기간: 12년 → 24점
- 부양가족: 3명 (배우자 + 자녀 2명) → 20점
- 청약통장 가입기간: 10년 → 11점
총점: 24 + 20 + 11 = 55점
→ 경쟁률이 낮은 단지에서는 당첨 가능성 있음,
강남·과천 등 인기 지역은 60점 이상 필요
5. 자주 묻는 질문 (Q&A)
Q1. 부양가족 기준이 뭔가요?
→ 주민등록등본상 같이 거주 중이고 생계를 함께하는 가족
(단, 3개월 이상 거주 요건 충족 필요)
Q2. 무주택 기간은 언제부터 계산되나요?
→ 본인 또는 배우자가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시점부터 계산
과거 주택 소유 이력 있다면, 처분 후부터의 기간만 반영
Q3. 청약통장 납입 횟수는 영향을 안 주나요?
→ 청약 가점에는 납입 횟수가 반영되지 않음
다만, 지역·면적에 따라 예치금 기준 충족은 별도 필요
Q4. 내 점수가 낮으면 청약 못 하나요?
→ 아닙니다.
일부 지역은 추첨제(무작위)로 일부 물량 배정되므로,
가점이 낮아도 청약 도전 가능성은 열려 있음
6. 청약 가점 계산 요약표
항목최대 점수핵심 기준
| 무주택 기간 | 32점 | 15년 이상 유지 |
| 부양가족 수 | 35점 | 자녀·부모 등과 동거 |
| 청약통장 가입기간 | 17점 | 15년 이상 유지 |
| 총점 | 84점 | 보통 당첨 안정권은 60점 이상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