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의금 봉투, 아무렇게나 써도 괜찮을까요?
결혼식, 돌잔치 등 경사스러운 자리에 빠지지 않는 축의금 봉투.
하지만 막상 작성하려면
"내 이름을 어디에 써야 하지?"
"신랑 이름 써야 해? 신부 이름?"
같이 헷갈리는 순간이 많습니다.
특히 한자나 세로쓰기, 직장 명 함께 쓰기, 현금 방향까지 예절이 필요한 부분이 많죠.
지금부터 실수 없이, 예의 바르게 축의금 봉투 작성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축의금 봉투 겉면 작성법
✅ 기본 구성
- 상단 중앙: “祝儀” 또는 “축의” (한자/한글 가능)
- 하단 중앙: 축의금을 주는 사람의 이름 (본인 이름)
- 세로쓰기 원칙이지만, 가로형 봉투일 경우 가로도 가능
✍️ 예시 (세로형 봉투 기준)
✔️ 신랑/신부 이름을 쓰는 것이 아님!
봉투 겉면에는 ‘축의금을 주는 사람(본인)’ 이름을 씁니다.
2. 어떤 이름을 써야 할까?
| 개인 참석 시 | 김지훈 | 본인 실명 작성 (한글/한자 무관) |
| 부부 참석 시 | 김지훈 · 이수진 | 나란히 씀 / ‘외 1인’은 지양 |
| 가족 대표로 참석 시 | 김지훈 외 ○○가족 | 아이 이름까지 쓰지 않아도 됨 |
| 회사 대표로 참석 시 | ㈜OO기업 대표 김지훈 | 단체명 + 대표자명 표기 가능 |
| 직장인 참석 시 | OO회사 김지훈 | 직함은 빼는 게 일반적 |
💡 부부 동반 시, 한 사람 이름만 쓰면 "축의금 적다"는 인식 줄 수 있어 둘 다 쓰는 게 좋습니다.
3. 봉투 속지(현금) 넣는 방법
- 지폐는 새 돈 또는 최대한 깨끗한 돈 사용
- 지폐는 ①얼굴이 위로 + ②봉투 입구 방향으로
- 지폐는 크기 순서대로 (큰 금액 뒤로)
- 현금+카드 넣을 땐 카드에 이름 기재 후 함께 동봉
💡 돈이 보이지 않도록 속지 봉투를 한 번 더 사용하는 것도 예의입니다.
🧧 한지로 된 전통 봉투 or 심플한 축의금 전용 봉투 사용 권장
4. 한자 ‘祝儀(축의)’ 꼭 써야 하나요?
- 전통 예법상 한자 사용이 보편적이지만
최근에는 한글 ‘축의’도 무방합니다. - 특히 젊은 층이나 캐주얼한 예식에서는
‘결혼을 축하드립니다’ 같은 문구로도 가능
단, **격식 있는 예식(전통 혼례, 상견례 등)**에선
한자 ‘祝儀’ 사용이 더 품위 있어 보일 수 있습니다.
5. 축의금 봉투 관련 실수 방지 TIP
✅ 받는 사람 이름 쓰는 거 아님!
👉 축의금 봉투엔 주는 사람 이름만 씀
👉 혼주 이름 쓰면 안 됩니다.
✅ ‘축의’만 쓰고 이름 안 쓰는 경우
👉 현장에서 이름 확인이 안 되니 꼭 이름 기재!
✅ ‘외 1인’, ‘가족 일동’처럼 모호한 표현 지양
👉 가족 동반 시 실제 이름을 함께 적는 게 예의
✅ 지폐 구겨져 있거나 더러운 돈 넣기
👉 최대한 깨끗한 지폐, 새 지폐 사용
✅ 두 사람 이상인데 한 사람 이름만 쓰기
👉 부부 동반, 가족 참석 시에는 이름 모두 표기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축의금 봉투에 받는 사람 이름 써야 하나요?
👉 절대 NO. 주는 사람(본인) 이름만 쓰는 게 맞습니다.
Q2. 직장 동료 결혼식인데 직급도 함께 써야 하나요?
👉 아니요. ‘OO회사 김지훈’ 정도로 충분합니다.
과장, 대리 등 직함은 생략이 기본 예의입니다.
Q3. 영문 이름만 있는 외국인은 어떻게 쓰나요?
👉 영어로만 작성해도 무방합니다.
단, 예식이 한국식일 경우 가급적 한글 이름도 함께 써주면 좋아요.
Q4. 축의금 봉투는 어디에서 구매하나요?
👉 문구점, 다이소, 편의점, 인터넷몰 등에서 구매 가능
전통 한지 봉투부터 심플한 현대식 봉투까지 다양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