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 만들었던 통장이나 장기 미사용 계좌에 남아 있는 잔액을 모르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통장에 잠든 돈, 즉 숨은 예금·자동이체 잔액·휴면계좌를 한 번에 확인하고 환급받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1. 통장에 잠든 돈이란?
다음과 같은 자산을 통칭해 ‘통장에 잠든 돈’이라고 부릅니다.
유형설명
장기 미사용 계좌 | 1년 이상 거래 없는 계좌에 남은 잔액 |
자동이체 남은 잔액 | 사용 종료된 서비스에 남아 있는 소액 예치금 |
휴면예금 | 5년 이상 미거래된 예·적금, 보험금 등 |
해지 잔액 미입금 | 통신사 요금, 보험 해약 환급금 등이 통장으로 입금되지 않은 경우 |
2. 통장에 잠든 돈 찾는 1순위 사이트
✅ 내 계좌 한눈에 (Payinfo)
- 운영기관: 금융결제원
- 기능:
- 내 명의로 된 전국 모든 금융기관의 예금·적금·대출·카드 내역 통합 조회
- 잔고가 남아 있는 장기 미사용 계좌 확인
- 계좌 해지 및 자동이체 해지 기능 제공
이용 절차:
- 사이트 접속 → 공동/금융인증서 로그인
- ‘계좌정보 통합조회’ 클릭
- 숨은 잔액이 있는 계좌 확인
- 필요 시 온라인으로 해지 및 잔액 환급
✅ 휴면예금 찾아줌
- 운영기관: 서민금융진흥원
- 기능:
- 5년 이상 거래 없는 휴면예금·보험금 통합조회
- 온라인으로 환급 신청 가능 (일부 금융사 한정)
휴면상태여도 법적으로 소유권은 본인에게 남아 있으므로 언제든지 환급 가능
3. 스마트폰으로 통장 속 숨은 돈 찾는 방법
방법 1. 은행 앱에서 장기 미사용 계좌 확인
- 각 은행 앱 → 전체 계좌 조회 → ‘미사용 계좌’ 표시 여부 확인
- 일부 은행은 1년 이상 거래 없는 계좌를 기본 화면에서 숨김 처리함
방법 2. 카드사 앱에서 포인트·캐시 확인
- 카드사 포인트가 자동이체 잔액 형태로 남아 있는 경우 많음
- ‘포인트 전환’ 메뉴에서 현금 전환 후 환급 가능
4. 자주 묻는 질문 (Q&A)
Q1. 예전에 만든 은행 계좌가 기억나지 않는데 확인할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내 계좌 한눈에’ 사이트에서 본인 명의의 모든 금융기관 계좌를 일괄 조회할 수 있습니다.
Q2. 자동이체 서비스가 해지되었는데도 잔액이 남아 있을 수 있나요?
A. 네. 전기요금, 통신비, 보험료 등은 해지 후에도 남은 예치금이 환급되지 않은 채 통장에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Q3. 휴면계좌에서 찾은 돈은 어디로 입금되나요?
A. 환급 신청 시 본인 명의 계좌를 입력하면 3~5영업일 내 입금됩니다. 일부 소액은 즉시 이체도 가능합니다.
Q4. 가족이나 사망자의 계좌도 조회 가능한가요?
A. 원칙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상속인의 경우 가족관계증명서 + 신분증 등 관련 서류로 금융사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5. 숨은 돈 찾기 체크리스트
항목확인 방법
장기 미사용 계좌 | 내 계좌 한눈에 (Payinfo) |
자동이체 남은 잔액 | 카드사, 통신사, 은행 앱 |
휴면예금 | 휴면예금 찾아줌 |
카드 포인트 |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www.cardpoint.or.kr) |
보험 환급금 | 내보험찾아줌 (www.내보험찾아줌.kr) |
6. 결론 요약
- ‘통장에 잠든 돈’은 내가 찾지 않은 소액 금융 자산으로, 온라인으로 손쉽게 찾을 수 있음
- ‘내 계좌 한눈에’와 ‘휴면예금 찾아줌’ 사이트를 통해 일괄 조회 가능
- 자동이체 잔액, 카드 포인트, 보험 환급금 등도 함께 확인할 것
- 소액이라도 정기적으로 점검하면 예상 외 금액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