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발표한 2025년 부동산 공급 계획,
어디에 얼마만큼의 주택이 공급될까?
사전청약, 3기 신도시, 공공·민간 분양 비율까지
청약 준비 전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 정리!
1. 부동산 공급 계획이란?
정부의 부동산 공급 계획이란
국가 또는 지자체가 주거 안정을 목적으로 중장기적으로 주택 공급량과 공급 시기, 대상 지역을 정리해 발표하는 정책입니다.
주요 목적
- 무주택자의 내 집 마련 기회 확대
- 전·월세 시장 안정화
- 인구 구조에 맞춘 공급 형태 조정 (1인 가구 증가 등)
2. 2025년 공급 목표 물량
구분공급 목표비고
| 총 공급 물량 | 2025년까지 누적 270만 호 | 문재인·윤석열 정부 연계 목표 |
| 2025년 공급 계획 | 약 60만 호 예정 | 수도권 65%, 비수도권 35% |
| 사전청약 포함 물량 | 약 3만~5만 호 예상 | 3기 신도시 등 |
📌 공급은 공공주택 + 민간 분양 + 임대주택 포함 기준입니다.
3. 지역별 주요 공급 예정지
✅ 수도권
- 3기 신도시 중심 (남양주, 하남 교산, 고양 창릉, 부천 대장 등)
- GTX 노선 인접 지역에 역세권 신규 개발지 포함
✅ 지방 광역시
- 부산 명지, 대구 연호, 대전 유성 등 택지개발 확대
- 지방 거점 도시에 청년·신혼부부 공공임대 확대
✅ 지방 중소도시
- 노후 주거지 재건축·재개발 방식
- 지방균형발전 정책 연계형 공급 확대
4. 사전청약제도 연계 공급
항목내용
| 정의 | 본청약 전에 미리 청약 기회를 주는 제도 |
| 대상 지역 | 3기 신도시 및 수도권 택지지구 |
| 신청 자격 | 무주택 세대주 + 소득/자산 요건 충족자 |
| 2025년 일정 | 상·하반기 1~2회 분산 공급 예정 |
✅ 사전청약 당첨 시 본청약까지 2~3년 이상 대기 기간 있음
5. 자주 묻는 질문 (Q&A)
Q1. 공급 물량은 무조건 분양 아파트인가요?
→ 아닙니다.
임대주택(청년·신혼·고령자)과 공공분양, 민간 분양까지 포함된 수치입니다.
Q2. 3기 신도시는 언제 입주 가능한가요?
→ 빠르면 2026~2028년 사이 입주 개시 예정
사전청약은 2025년 중 추가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Q3. 청약 통장은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요?
→ 청년/신혼/무주택 세대주 기준으로 미리 가입해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예치금, 납입 횟수 등 조건 충족 여부는 청약통장 납입 기준표 보기 참조.
Q4. 공공임대 vs 민간분양 어떤 게 유리한가요?
→ 청년·신혼부부에게는 공공임대가 초기 비용 부담 적고 유리합니다.
자산·소득 수준이 일정 이상이라면 민간분양도 적극 검토 가능.
6. 요약 정리표
항목내용
| 공급 시기 | 2025년 내 60만 호 예정 |
| 주요 지역 | 수도권 (3기 신도시 중심), 지방 광역시 |
| 사전청약 물량 | 약 3~5만 호 |
| 공급 방식 | 공공주택, 민간분양, 임대주택 혼합 |
| 신청 조건 | 무주택, 소득 요건 등 |
| 입주 시기 | 본청약 후 2~3년 뒤 예정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