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PNG vs SVG 언제 써야 할까?

by jay-style 2025. 10. 9.

PNG와 SVG, 언제 어떤 상황에서 써야 할까요? 이미지 포맷의 차이와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웹·디자인·인쇄에 맞는 사용 기준을 정리했습니다.


✅ PNG와 SVG, 무엇이 다를까?

PNGSVG는 모두 웹과 디자인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미지 파일 형식이지만,
근본적인 구조부터 용도까지 완전히 다릅니다.

항목PNGSVG
형식 비트맵(Bitmap) 벡터(Vector)
용량 크기 비례 매우 가벼움 (단순 구조일수록)
해상도 고정 해상도 무한 확대/축소 가능
투명 배경 지원 지원
애니메이션 미지원 일부 지원 (CSS/JS)
편집 포토샵 등 필요 텍스트 기반, 코드 편집 가능

✅ PNG가 유리한 상황

PNG는 픽셀 단위의 정교한 표현이 필요한 경우 탁월합니다.

✅ 이런 경우 PNG를 사용하세요

사용 사례이유
사진, 스크린샷 정밀한 색감과 디테일 유지
UI 요소 (그림자, 텍스처) 픽셀 기반 효과 표현 가능
SNS 업로드용 이미지 호환성 우수
투명 배경 아이콘 PNG-24는 배경 없이 출력 가능
포토샵/일러스트 결과물 저장 비트맵 형태 그대로 유지

✅ 포토샵에서 작업한 디자인 요소를 ‘그대로’ 보여주고 싶다면 PNG가 안정적입니다.


✅ SVG가 유리한 상황

SVG는 수학적 도형(벡터) 기반으로 만들어져
해상도에 관계없이 완벽한 품질을 유지합니다.

✅ 이런 경우 SVG를 사용하세요

사용 사례이유
로고, 아이콘, 심볼 크기에 상관없이 선명하게 출력됨
반응형 웹디자인 어떤 해상도에서도 선명
애니메이션 효과 적용 CSS/JS로 인터랙션 구현 가능
파일 용량 최적화 벡터 기반이라 매우 가볍고 빠름
개발 협업 코드로 편집, Git 등 버전 관리 용이

✅ 로고나 UI 아이콘처럼 다양한 크기로 활용해야 하는 그래픽은 SVG가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 비교 예시 이미지 (설명용)

비교 항목PNGSVG
모바일 웹에서 아이콘 흐릿하게 보일 수 있음 선명하게 유지
확대 시 이미지 품질 깨짐 발생 무한 확대에도 선명
용량 (100x100 로고) 20~150KB 2~10KB
다크모드 대응 수동 이미지 교체 필요 CSS 조작 가능

✅ 실무에서는 이렇게 구분하세요!

작업 환경추천 포맷이유
웹사이트 로고 / 아이콘 SVG 선명함 + 반응형 대응
배너 / 포스터 디자인 PNG 복잡한 이미지 표현
앱 UI 요소 혼합 사용 아이콘: SVG / 배경: PNG
출력물 디자인 PDF or PNG 인쇄 호환성 ↑
SNS 썸네일 PNG 대부분 플랫폼과 호환성 우수

✅ Q&A

Q1. JPG, PNG, SVG 중 가장 화질 좋은 건?
→ 화질은 PNG > JPG > SVG 순이 아니라, 용도에 따라 다릅니다.
SVG는 ‘선명도’에 있어 무제한 확대가 가능한 최고 포맷입니다.


Q2. SVG는 모든 브라우저에서 호환되나요?
→ ✅ 최신 브라우저 대부분 지원 (Chrome, Safari, Edge 등)
→ ❗ IE 구버전에서는 제한적이므로 fallback 이미지 설정 권장


Q3. PNG를 SVG로 변환하면 용량이 줄어드나요?
단순 도형이라면 가능,
하지만 복잡한 이미지(예: 사진)를 SVG로 바꾸는 건 비효율적이며,
오히려 SVG 코드가 엄청나게 길어지고 무거워집니다.


✅ 연계 포스팅 추천


✅ 마무리

선택 기준PNGSVG
픽셀 기반 사진 표현
확대·축소 품질 유지
웹 아이콘·로고
SNS 이미지 호환

결론:
✔ 사진, 복잡한 이미지 = PNG
✔ 아이콘, 로고, 반응형 웹 그래픽 = SVG

포맷을 잘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디자인 완성도와 사용자 경험이 달라집니다.

댓글